본문 바로가기
Well-being Town

사회적 거리두기 주요내용 (3월 5일 ~ 3월 20일)

by 장's touch 2022. 3. 4.
반응형

< 거리두기 주요내용 (3.5.~3.20.) >

1. 사적모임

접종여부 관계없이 전국 6인까지 가능합니다.
다만 동거가족, 돌봄(아동·노인·장애인 등) 등 기존의 예외범위는 계속 유지합니다.

2. 운영시간

1·2·3그룹 및 기타 일부시설 23시까지로 제한합니다.
1그룹(유흥시설 등)

2그룹 시설(식당·카페,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3그룹 및 기타 일부 시설(학원, PC방, 영화관, 공연장, 오락실, 멀티방, 카지노, 파티룸, 마사지·안마소)

- 학원: 학원의 경우, 평생직업교육학원에만 23시까지 운영시간 제한 적용

- 영화관·공연장: 영화관·공연장의 경우, 상영·공연 시작 시간 23시까지 허용(종료시각 익일  01시초과 금지)

- 마사지·안마소: 의료법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운영·종사하는 안마시술소, 안마원은 제외

 

 


3. 행사·집회

접종여부 관계없이 최대 299명까지 가능
- 300명 이상 행사(비정규공연장·스포츠대회·축제)는 관계부처 승인 하에 관리
- 법령 등에 근거한 공무, 기업활동 및 별도 행사의 경우 인원 제한 없이 실시하되, 기본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실시 
* (행사 예외) 공무 및 기업 필수경영 활동 관련 행사(기업 정기주주총회 등)(별도수칙) 전시회·박람회, 국제회의·학술행사 등

4. 종교시설

정규 종교활동은 접종여부 관계없이 수용인원의 70% 범위 내에서 실시 
- 종교행사는 모임·행사 기준에 따라 최대 299명까지 가능

5. 기타 수칙

취식 금지 및 주기적 소독‧환기 등 시설별 방역수칙 준수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적모임 인원 전국 6인 유지, 
영업시간 23시로 완화, 내일부터 즉시 시행(3.5~3.20)

개편된 방역체계와의 정합성, 안정적인 위중증 규모, 누적된 민생경제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일부 추가 조정(영업시간 22->23) 시행(3.5~3.20)
준중증중등증 병상 입원환자의 전원(전실) 사전 권고 시행(3.4.)
- 사전권고(3.4.)이후 소명자료 제출심사 과정을 통해 최종 전원(전실) 명령
병상가동률 등 주요 방역지표 관리 가능 범위 내 운영 중 (3.4. 0시 기준)
-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797, 사망자 수는 186
-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50%, 준중증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 40%~50%대로 관리가능 범위 내에서 운영 중
현재 혈액보유량 3일 이상 5일 미만인 관심 단계‘, 적극적인 헌혈 동참 필요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2차장(행정안전부 전해철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방안 ▲주요 지자체 방역‧의료체계 전환 추진상황 등을 논의하였다.


1.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방안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 권덕철 장관)로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방안을 보고 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1> 현황 및 고려사항

□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1월 3주차부터 확진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26만명을 초과*하는 등 역대 최대규모를 갱신하고 있다.

     * 같은 요일 국내 확진자 : 53,791(2.11) → 109,704(2.18) → 165,748(2.25) → 266,771(3.4)

 ○ 국내 유행의 정점 시기와 규모는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전문가들의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3월 중순 26~35만명 내외 발생이 예상된다.

< 주간 방역지표 동향 >

주간
()
국내 일 평균 환자() 재생산
지수
(R)
중증도() 병상 가동률(%)
총계 60세 이상 비중 18세 이하 비중 60
이상
위중증
환자
주간
사망자
중환자
병상
중등증
병상
생활
치료센터
2.20~2.26 138,902 13.4% 26.1% 1.46 18,560 541 541 44.0 47.3 23.6
2.13~2.19 80,410 11.4% 27.3% 1.44 9,199 343 309 31.0 42.6 22.6
2.6~2.12 46,039 11.7% 23.9% 1.60 5,382 275 187 20.2 44.6 37.3
1.30~2.5 22,654 9.2% 25.7% 1.60 2,075 272 146 16.1 39.9 47.1

□ 위중증 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유행규모 대비 위중증 환자 규모*는 델타보다 낮은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 위중증환자(확진자수): (12.15.) 964명 (7,827명) → (3.4.) 797명 (266,771명)

□ 중환자 병상(50.7%, 3.4.) 등 의료체계도 가동률이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위중증 환자 증가 추세에 따라 향후 가용 여력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중환자 병상 가동률 : 20.2%(2월2주) → 31.0%(2월3주) → 44.0%(2월4주)

     *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 43.7%(2월2주) → 53.8%(2월3주) → 62.7%(2월4주)
□ 예방접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60세 이상 3차 접종률이 88.4%(3.4.)까지 상승했고, 전 국민 3차 접종률(61.7%, 3.4.)도 60%를 초과했다.

□ 한편, 최근 거리두기 일부 완화 조치(2.18. 발표)와 지속적인 손실보상 확대에도 불구하고 한계까지 누적된 자영업·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타나고 있다.

□ 또한, 고위험군 관리 중심으로 방역체계를 개편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전파력은 높지만 위중증율·치명률은 낮은 오미크론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위험군 관리 중심의 방역체계 개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이며, 

   - 이러한 개편의 일환으로 최근 확진자 동거인 수동감시 전환(2.25.), 방역패스 잠정 중단(2.28.)을 발표한 바 있다.

 ○ 이에 따라 전체 확진자 발생 억제를 위한 고강도 거리두기가 계속 필요한지, 방역체계 개편 방향과 부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 이와 함께, 거리두기 완화가 위중증 발생, 의료체계 여력 등에 미칠 영향도 함께 고려하였다. 

 ○ 오미크론의 낮은 위중증율·치명률에도 불구하고 높은 전파력으로 인해 거리두기를 일시에 완화할 경우 단기간 내 확진자 발생 증가로 이어져 의료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정부는 일상회복지원위원회와 관계부처 및 17개 시·도 회의 등을 통해 거리두기 조정방안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의견수렴을 하였다.
 ○ 일상회복지원위원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지만,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 방역의료분과 등 전문가들은 잦은 변경으로 인한 혼란 및 해외사례 등을 고려할 때 현행 유지 및 정점 이후에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던 반면,

   - 경제민생·사회문화·자치안전 등 대다수 분과에서는 오미크론 특성으로 인한 거리두기 수용성 저하와 방역체계 개편과의 정합성, 민생경제 애로 등을 고려하여 거리두기 폐지 또는 운영시간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확진자 증가 상황과 의료체계 여력을 고려하여 현행 유지가 필요하다는 의견, 소상공인의 어려움과 방역체계 개편을 고려하여 점진적 완화 시작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2>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방안

□ 정부는 방역상황의 변화와 여러 의견수렴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당초 3월 13일까지 적용하기로 했던 거리두기 조치를 앞당겨 조정하기로 하였다.

□ 이는 누적되는 민생경제의 어려움, 오미크론 특성에 따른 방역전략의 변화와 방역상황, 각계 의견수렴 결과 등에 따른 조치이다.

□ 금주까지 고강도 거리두기가 11주째 이어지면서 자영업,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한계에 달하고 있고, 지난 거리두기 조정으로 운영시간이 1시간 연장 됐음에도 민생경제 어려움 해소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더 많았다.
□ 이에 더해, 오미크론은 델타와 다르게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낮다는 점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고, 

 ○ 이러한 오미크론의 특성에 따라 전체 확진자 억제에서 중증·사망 최소화로 방역체계의 패러다임을 재편하면서 고강도 거리두기 유지 필요성에 대한 정합성과 수용성이 저하되어 있는 상황이다.

□ 또한, 오미크론의 높은 전파력으로 거리두기의 효과성과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어, 소상공인의 희생을 담보로 하는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도 커지고 있다.

□ 반면, 전면적으로 거리두기를 완화하기에는 아직 정점 시기와 규모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라는 점도 고려하였다.

 ○ 정점이 분명해 지고, 의료대응 여력이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고 평가되기 전까지 전면적으로 거리두기 조치를 완화하는 것은 위험성이 크다는 판단이다.

□ 이에 따라 이번 거리두기는 최소한도로만 조정하되, 이후 다음번 거리두기 조정부터 본격적으로 완화조치를 검토하기로 하였다.

□ 이러한 기본방향을 토대로 이번 사회적 거리두기는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 (기간) 3월 5일(토)부터 3월 20일(일)까지 시행한다. 소상공인 등 민생경제 어려움을 감안하여 이번주 토요일부터 즉시 시행한다.

 ○ (운영시간) 현재 1·2·3·그룹 및 기타 그룹 일부 시설에 적용되고 있는 22시 운영시간 기준을 23시까지로 1시간 완화한다.

참고 : 영업시간 제한시설 분류


1그룹: 유흥시설 등(유흥주점, 단란주점, 클럽(나이트),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무도장)
2그룹(4): 식당·카페,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3그룹기타(8): 평생직업교육학원, PC, 오락실, 멀티방, 카지노, 파티룸, 마사지·안마소 영화관·공연장(23시 시작 허용, 종료시각 익일 01초과 금지)

 ○ (기타) 그 밖에 사적모임, 행사·집회 등에 대한 조치는 종전 기준이 그대로 유지된다.

□ 아울러, 이번 거리두기 조정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며, 정점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고, 위중증 및 의료체계 여력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경우 본격적으로 거리두기 조정을 실시할 계획이다.

□ 한편, 오미크론의 높은 전파력으로 그 어느 때보다 일상 속 방역실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에 따라 정부는 다중이용시설 방역수칙 뿐만 아니라 사람 간 1m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특히, 미접종·고령층의 경우 KF94 권고), 주기적인 환기·소독 등 기본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당부하였다.

 

 


2.  준중증·중등증 입원환자 전원(전실) 사전권고 시행

□ 최근 준중증·중등증 병상 입원환자 중 산소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비율이 준중증 2,170개 병상 중 727개로 33.5%, 중등증 10,244개 병상 중 1,157개로 11.3%에 불과한 수준이며, 이는 경증환자의 입원비율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지속적 병상 확충 노력과 더불어 더 많은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이전 중증병상에 적용하던 재원관리 방안을 확대하여 준중증·중등증 병상에도 적용한다. 

□ 3월 4일 오늘 코로나19 준중증, 중등증 입원자 중 검체채취일로부터 10일이 경과된 731명(3.3.기준)에 대해 일반병상 이동을 위한 전원·전실 사전 권고를 시행한다.

 ○ 다만, 의료진이 추가 격리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전원(전실) 권고에 대해 소명자료를 제출하는 경우 협의를 통해 추가 격리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전원·전실 하지 않고 계속 같은 병실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 기저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병상으로 이동하여 계속 치료를 받게 된다.

 


3.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한 헌혈 참여 요청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최근 혈액보유량이 3일 이상 5일 미만인 ’관심 단계‘가 지속되고 있어, 정부기관의 적극적인 헌혈 참여와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확산을 요청하였다.

 ○ 3월 4일(금) 혈액 보유량은 4.0일분으로 ‘관심’ 단계이다.

   - 올해 2월 28일 기준 헌혈량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만 3천 건 감소한 수치이다.

    * ’22년 1∼2월 헌혈량은 ‘21년 대비 33,047건(8.2%) 감소(’21년 402,188건→’22년 369,141건)

 ○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해 정부기관은 3월 한달 동안 솔선수범하여 ‘헌혈 이어가기 행사’를 통한 단체 헌혈을 진행한다.

   - 이번 행사는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해양경찰청, 행정안전부 등 31개 기관, 1천 6백여 명의 직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 참여 기관은 직원들의 헌혈공가 활용을 장려하고, 기관장은 헌혈행사에 관심을 갖고 헌혈 문화를 확산하도록 하였다.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국민여러분께도 가까운 헌혈의 집 또는 헌혈카페에서 헌혈에 동참해 주시길 부탁했다.

 ○ 개인은 홈페이지와 헌혈앱(레드커넥트)을 통해 원하는 장소(헌혈의 집 또는 헌혈카페)와 시간, 헌혈 종류를 미리 예약하고 전자문진으로 사전에 편리하게 헌혈에 참여할 수 있다. 

 

 


4. 오미크론 대응 코로나19 검사 및 치료체계 현황

【병·의원 검사·치료체계 전환】

□ 동네 병‧의원 검사‧치료 체계 전환(2.3.)으로 유전자증폭검사(PCR 검사) 우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국민은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신속항원검사는 개인이 약국 등에서 자가검사키트(일반용)를 구매하여 실시하거나, 의료기관(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진료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선별‧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 가능

 ○ 3월 3일(17시 기준) 기준 호흡기전담클리닉은 453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은 6,560개소로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전국에 7,013개소가 있다.

   -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진료 지정 의료기관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코로나19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택치료체계 개편】

□ 정부는 오미크론의 특성 및 무증상·경증 환자 다수 발생에 대비, 재택치료 관리 여력을 지속 확대 해나가고 있다. 

 ○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1일 2회)를 위한 관리의료기관은 현재 834개소(3.4. 0시)로 23만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다. 

○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7,734개소*가 운영되고 있고, (3.3. 17시)

    * 운영개시 예정인 기관도 포함
  -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220개소 운영되고 있다.(3.3. 17시)

○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검사, 처치, 수술, 단기입원 등 대면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센터는 118개소 운영되고 있다. (3.4. 0시)

○ 재택치료 관련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 등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아울러, 재택치료 생활안내, 격리해제일 등 행정적 문의 대응을 위한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 238개소(3.3.)가 각 지자체별로 운영되고 있다. 

※ 의료상담 · 행정안내 일일 건수 (각 지자체 제출 자료 취합, 3.3.기준)

의료상담 총 계 진료 상담 진료·처방 상담 의료 외 상담
상담 건수 (비중) 16,637 (100.0%) 5,610(33.7.%) 7,267(43.7%) 3.760(22.6%)
행정안내 총 계 격리해제 등 일반안내 외출 등 생활안내 진단키트 등 배송안내 진료 등 의료안내 기타
상담 건수
(비중)
85,106 (100.0%) 33,905(39.8%) 12,379
(12.2%)
7,871(9.3%) 15,924(18.7%) 17,027(20.0%)

 

 


5.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3월 4일(금) 0시 기준, 코로나19 치료 병상은 관리 가능 범위 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정부는 병상 확충을 지속 추진 중에 있다.

 ○ 전체 병상 보유량은 48,493병상, 전일 대비 1,277병상이 확충되었다.

 ○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2021년 11월 1일과 비교하면, 총 16,655개의 병상이 확충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1,661개, 준-중환자 병상 3,468개, 감염병전담병원 11,526개이다.

<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구분   ’21.11.1. (0) ’22.3.4. (0)
보유 사용 (가동률) 보유 사용 (가동률)
위중증 병상 1,083 489 45.2% 2,744
(+1,661)
1,385 50.5%
  수도권 667 390 58.5% 1,936 895 46.2%
비수도권 416 99 23.8% 808 490 60.6%
준중증 병상 455 182 60.0% 3,923
(+3,468)
2,297 58.6%
  수도권 276 204 73.9% 2,816 1,627 57.8%
비수도권 179 69 38.5% 1,107 670 60.5%
감염병 전담병원 10,056 5,172 51.4% 21,582
(+11,526)
9,787 45.3%
  수도권 4,655 3,265 70.1% 9,978 4,611 46.2%
비수도권 5,401 1,907 35.3% 11,604 5,176 44.6%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50.5%, 준-중증병상 58.6%, 중등증병상 45.3%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21.1%이다. 

   - 최근 병상가동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위중증은 50% 수준, 준중증 및 중등증은 40%~55% 수준의 여유가 있으며, 병상을 지속 확충해 환자 발생 등에 대비할 예정이다. 
< 3.4. 0시 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무증상·경증(輕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전국 2,744 1,385 1,359 3,923 2,297 1,626 21,582 9,787 11,795 20,244 4,275 15,969
(+0) 50.5 (+6) (+650) 58.6 (+523) (+627) 45.3 (+1,084) (+0) 21.1 (+27)
수도권 1,936 895 1,041 2,816 1,627 1,189 9,978 4,611 5,367 12,578 2,709 9,869
(+0) 46.2 (+1) (+335) 57.8 (+263) (+229) 46.2 (+490) (+0) 21.5 (-30)
  중수본                   3,198 474 2,724
서울 663 333 330 558 401 157 4,189 2,071 2,118 5,249 1,446 3,803
경기 874 402 472 1,670 864 806 4,021 1,894 2,127 3,037 693 2,344
인천 399 160 239 588 362 226 1,768 646 1,122 1,094 96 998
비수도권 808 490 318 1,107 670 437 11,604 5,176 6,428 7,666 1,566 6,100
(+0) 60.6 (+5) (+315) 60.5 (+260) (+398) 44.6 (+594) (+0) 20.4 (+57)
  중수본                   1,114 234 880
강원 63 47 16 36 31 5 710 397 313 499 97 402
충청권 168 88 80 200 132 68 2,805 1,141 1,664 617 79 538
호남권 197 89 108 350 182 168 3,120 1,291 1,829 754 139 615
경북권 164 111 53 138 90 48 2,257 1,073 1,184 1,624 130 1,494
경남권 194 145 49 371 232 139 2,367 1,134 1,233 2,501 768 1,733
제주 22 10 12 12 3 9 345 140 205 557 119 438

【감염병전담(요양)병원 중등증 병상 확충 현황】

 ○ 특히 오미크론의 유행 및 요양병원ㆍ시설 집단감염 등에 따른 중등증 병상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코로나 19 중등증 병상 추가확충을 추진 중이다. 

 ○ 2월 18일부터 병원의 자체인력 확보 비율, 병상가동률 등을 고려하여,  2천개 이상의 병상을 코로나19 중등증 병상으로 추가 확보하고 있다. 

   - 아울러, 추가 확보하는 병상은 이번 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3월 2주내로 신속히 운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입원대기】

□ 입원대기는 병상여력이 회복되면서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 

【위중증·사망자】

□ 3월 4일(금)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797명(전일 대비 31명 증가)으로 2월 28일부터 7백 명 대를 유지하고 있다. 

    ※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21.11.1.)의 위중증 환자 : 343명

 ○ 신규 사망자는 186명이고, 60세 이상이 178명(95.7%)이다.  

 

 ○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확진자는 39,936명이고 전일 대비 10,726명 증가 하였다. 

   - 국내발생 확진자(266,771명) 중 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중은 15.0%며, 최근 2주간 11.9%~15.6%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21.11.1.)의 60세 이상 확진자, 비중 : 514명, 30.9%

 ○ 국내 발생 확진자 중 18세 이하 확진자는 63,861명이고, 비중이23.9%로 20%대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재택치료】
□ 3월 4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925,662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232,632명(수도권 129,583명, 비수도권 103,049명)이다. 

 

출처: 보건복지부

반응형

댓글